쿠키를 res.cookie('token','aaa') 이런식으로 서버에서 설정해서 보낼 수 있음. res.cookie()는 응답메세지에서 header부분에 쿠키를 생성해서 보내겠다는 의미다.
console창에 document.cookie했을때 나오지 않도록 option값을
{httpOnly:true,secure:true,}
이런 식으로 넣어줘도 된다.
쿠키에 정보를 한번 넣게 되면 storage에 정보가 저장되서 어떤 걸 요청할 때마다 storage로부터 값을 가지고 와서 요청한다. 그래서 서버가 옮겨져도 계속 쿠키값이 남을 수 있는것.
'Le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기본 사용 (0) | 2021.07.02 |
---|---|
Promise 객체 이해하기 (0) | 2021.06.01 |
TOKEN 암호화 (1) | 2021.05.27 |
비동기 통신 로딩 처리 (0) | 2021.05.27 |
HTTP 비동기 통신 (0) | 2021.05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