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Lecture

0330.기초

function을 정의해도 사용(함수이름())하지 않으면 실행이 안됨.

        function a(){
            console.log(0);
        }

{} : 코드블럭 << if문 for문 function에서 사용

 

연산자

= 대입연산자

== 비교연산자 << 물음표 같음

ex)

a = 0; << 0을 a변수안에 담는다

a == 0; << a가 0인가'?'

 

for문

hello(5);
function hello(n){
   for(i=1; i<=9; i++){
   console.log(i*n);    
   }
}

for 문 : i는 1이다; i가 9보다 작거나 같을때 까지; i에게 1씩 더해줘라

console.log(i * 인자값(매개변수):n)

>> 결과값 : 구구단 5단처럼 숫자가 나옴

        hello3();
        function hello3(){
            for(i=1; i<=10; i++){
                if(i == 5){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'hello world');
                } else{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i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
for문 : i는 1이다; i가 10보다 작거나 같을때 까지; i에 +1씩해준다;

if문 - 비교연산자를 씀(물음표) : i가 5와 같은가? 만약 그렇다면 console에 hello world를 표출해라.

만약 i가 5와 같지 않다면 console에 i를 표시해라. 

>> 결과값

 

1부터 15까지 숫자들중에 3의 배수에만 hello world를 표시하기

        hello4();
        function hello4(){
            for(i=1; i<=15; i++){
                if(i%3 == 0){  // i를 3으로 나눴을때 나머지가 0으로 남냐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'hello world');
                } else{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i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
for문 : i는 1이다; i가 15보다 작거나 같을때 까지; i에 +1해준다.

if문 : 조건값 = i를 3으로 나눴을때 0이 나오나? 그렇다면 콘솔에 hello world를 표시해라.

그렇지않다면 콘솔에 i를 표출해라

>> 결과값

위와 같은 값을 표출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쓸 수 있다.

        hello5();
        function hello5(){
            for(i=1; i<=15; i++){
                if(i==3||i==6||i==9||i==12||i==15){ 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'hello world');
                } else{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i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
for문은 위와 같고 if문에서 3의 배수를 직접 i에 입력하고 or과 같은 뜻인 ||를 사용해준다.

 

 

인자값

hello2 function을 불러왔을때 괄호 안에 a를 위한 인자값을 넣어주지 않으면 콘솔에 undefined로 나옴. 

        hello2('e');
        function hello2(a){
            console.log(a);
        }

 

변수

전역변수

script를 시작한 후에 var을 통해서 전역변수를 설정해준다.

전역변수는 script안에서 사용하는 모든 변수와 함수에서 사용가능하다.

지역변수

함수 안에서 변수를 선언해주면 그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사용가능하다.

ex)

        var b='나는 비다';
        function hello(){
            var b='나는 에이다'
            console.log(b);
        }
        
        hello();
        console.log(b);

>>결과값

 

b를 전역변수로 선언해 '나는 비다'라는 값을 넣어준다.

그래서 함수밖에있는 console.log안에 있는 b는 '나는 비다'라는 값을 출력한다.

 

새로운 함수를 시작한다. 그리고 그 안에 b를 지역변수로 선언해 '나는 에이다'라는 값을 넣어준다.

그 함수를 실행시켰을때는 함수안에 console.log로 b가 '나는 에이다'라고 출력한다.

 

var

지역변수와 전역벽수의 이름이 같다고 치고 함수안에 지역변수를 선언해준다. 그때 지역변수 앞에 var을 붙이면 그 지역(함수) 안에서'만' 변수가 적용이된다. 하지만 (javascript에서는) 지역변수앞에 var가 없고 전역변수가 지역변수보다 위쪽에 위치한다면 function을 지나면서 전역변수도 변경 될 수 있다.  

 

다른예)

만약 어떤 함수안에 지역변수를 선언해줬다고 치자. 그 함수안에는 선언해줬던 지역변수에 1씩 더한다는 코드도 넣었다.이런 상태에서 함수를 두번이상 실행시키면 결과값은 같은 변수가 2번 표시된다.

 

하지만 그 지역변수를 전역변수로 선언을 해준다면 함수를 실행시킬때마다 변수+1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.<< 이것을 for문 (반복문)으로 짧게 줄일 수 있다. 

 

 

'Le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331.객체  (0) 2021.03.31
slider - pause/play btn  (0) 2021.03.31
3.23 - img_changing  (0) 2021.03.24
3.23 - Delete Btn  (0) 2021.03.24
3.22 - To do list  (1) 2021.03.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