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사이언티스트
무신사 - 이원지
커리어 고민⭐️
대기업에서 이직하고자 했던 이유
- 성장하는 회사를 찾고자 해서
- 갖추어지지 않은 회사를 찾고자 했음
- 초기구축 참여의 기회
허니문(이직/취업 후 3~4개월 간의 기간) 지난 후 조바심 극복 방법
- 팀이 할 수 있는 일 증명하기
- 기획팀, 개발팀, 리더십을 움직이는 것은 무엇인가 생각해보기
- chasm (발전하기 전 정체) 구간을 잘 넘겨내기
- 내 직군에서 내 스스로가 경쟁력이 있을까?
- 내 경쟁력을 판단하기 위한 ‘커피챗’
- 회사 스테이지에 따라 필요한 역량 파악
- 내 장점 파악 (예 : 비즈니스와 커뮤니케이션 가능, …etc)
- 회사의 니즈를 파악
- 각 팀원의 강점과 개성 파악.
- 내 개성을 파악하여 스스로의 기여 방향을 정의하기
- 커리어는 하나의 잣대로 평가받지 않음
- 내 커리어가 복잡하게 여러갈래로 나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언젠가 나뉘었던 여러가지 커리어들이 도움을 주게 될 수 있다.
- 회사도 하나의 잣대로 평가할 수 없다
질문
함께 일하고 싶은 팀원 / 되고자하는 팀원
- 그레이 영역을 먼제 채우는 팀원
- 일 처리 자체가 편안하게 흘러간다
본인에게 좋은 리더란 무엇인지 생각해본다
- 예) 여러 동료를 모아 하나로 만들어준다.
엔지니어
강남언니 - 유동근
삼성 SDS 경험
- 사수/부사수
- 명확한 업무 프로세스
- 실패에 대한 인식
- 실수 = 하위고가 ⇒ 도전을 안하게 됨 고로 도전이나 새로운 툴을 위험요소로 받아들임
이직
- 회사 인재상에 스스로를 맞추려고 함
- 베르세르크
- 도망쳐서 도착한 곳에 낙원이란 있을 수 없는거야
- 본인에게 잘 맞는 업무를 파악하지 않고 무작정 ‘이직’이라는 목표를 위해 달림
카카오 경험
- MongoDB DBA
- 능력있는 사수
SAP Labs 경험
- SAP HANA라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든 회사
- HANA DB 개발 지원 엔지니어
- HANA DB 고객 이슈 트러블 슈팅 (case engineer)
- 여기서 업무 하면서 느낀 불안감
- 스킬셋에 대한 고민, 이직에 관한 불안감
- 마이너한 DB를 딥하게 갔을때 스킬셋 활용의 축소
- 불안함의 원인 파악 > 목표 수립 > 목표 실행
- 스킬셋에 대한 고민, 이직에 관한 불안감
AWS 경험
- loop 면접
- 5시간 동안 사내문화랑 맞는지 체크하는 면접
- DB 아키텍트
- 현대화 프로젝트
- 다양한 고객 프로젝트
강남언니 경험 ~ing
- 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 + 플랫폼 엔지니어
- 목적 조직
- microservice 책 → cross functionality
- 서로가 서로의 업무를 이해함 > 고로 원활한 소통이 가능함
질문
저연차 정체성 찾기
- 다양한 경험
- 멘토 > 멘토링 서비스
작은 개발 조직에서 성장 이루는 법
- 다양한 경험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기
- 따지지 않고 여러가지 다 해보다 본인의 정체성 찾기
- specialty가 약해진다고 느낀다면 2년 후에 본인의 정체성과 맞는 길로 간다
성장 과정 중 지칠때는 어떻게 했나요
- 기회를 놓치지 않겠다는 절박함
- 나는 원래 이렇게 공부하는 사람이라고 스스로 생각하기
Cloud
AWS - 임민재
채용시장에서의 aws
- 사용해본 경험이 곧 나의 스택이 될 수 있다
AWS를 사용하는 이유
- 인프라 관리, 모니터링, 보안, 비용 > 쉽게 하기 위하여 aws 사용
- 유연한 인프라의 사용
- 다양한 컴퓨팅 리소스 제공
- ec2, ecs, lamda
- 자동화된 Scale In/Out
- 사용한 만큼만 비용 지불
- 다양한 컴퓨팅 리소스 제공
- 다양한 완전 관리형 서비스
- 빌딩 블록형태의 서비스
- 다양한 3rd party tool 지원
추천 서비스
Serverless 서비스
- Amazon S3
- 가장 오래된 서비스
- 무제한으로 저장 가능
- 정적 웹 hosting 기능 제공
- Amazon CloudFront
- AWS Lambda
- 대표적 serverless 컴퓨팅 서비스
- 서비스 코드 > Lamdba서비스 생성 > 코드 복사 = API 사용가능
- Amazon DynamoDB
- serverless DB (Key-Value NoSQL)
- Amazon API Gateway
- API 손쉽게 관리
- 어플리케이션이 Backend에 접근하는 역할을 함
DevOps를 위한 CI/CD Pipeline Service
- CodeCommit > CodeBuild > CodeDeploy
- CodePipeline : 위 코드 배포과정을 시각적으로 정리해주는 서비스
- 3rd party tool과 사용 가능 (GitHub, BigBucket)
- 저장중 암호화 전송중 암호화 지원
질문
aws amplify (큰틀을 빠르게 잡거나 데모를 돌리고 싶을때 사용 추천)
- 모바일 or 웹 앱
- 풀스택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도움이 됨
- 앰플리파이 컴포넌트 → 프론트엔드
개발자 비전
위니브 - 이호준
github.com/stereobooster/programming-languages-genealogical-tree
총평
고연차 경력자 분들이 개발자라면 한번쯤 해봤을 고민을 기준으로 이야기를 많이 해주셨다.
나 홀로 판단내리기 어려운 부분의 조언을 많이 들을 수 있었던게 좋았다.
다만 25,000원이나 내고 갈 가치는 아니었다.
도움이 되는 세션도 있었지만 화날 정도로 전혀 도움이 안되는 세션도 있었다. >> 아예 기록자체를 안했음
인당 25,000씩 받는 꽤나 큰 규모의 컨퍼런스인데 최소 스피커 선정 정도는 잘 해줬어야 했다고 본다.
* 입장 한시간반 전에 일찍 도착했더니 부스도 여유롭게 즐기고 부스 설명도 디테일하게 들을 수 있어서 굉장히 좋았다!
무신사 티셔츠 받은 거로 25,000원 퉁치자 생각 중 ㅎ
다음에는 좀 더 제대로 기획된 컨퍼런스를 가보고 싶다.
'Le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.NET] SingalR로 양방향 소켓 서버 만들기 (2) | 2023.01.30 |
---|---|
Must use destructuring props assignment react/destructuring-assignment (0) | 2022.03.11 |
0307 ICT 블록체인 (0) | 2022.03.10 |
스토리북 설치 및 실행 (0) | 2021.11.30 |
m1 MOS Npm Publish (0) | 2021.11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