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npm site 회원가입
2. 터미널에서 npm login
로컬 더미널에서 npm login 을 쳐서 username, password, email을 차례대로 입력하여 로그인한다.

3. 패키지 생성
3-1. 패키지명 지정
npm에 로그인 되어 있는 상태에서 npm info [패키지명] 을 입력하여 내가 생성하려는 패키지명이 이미 존재하는지 확인한다.

이렇게 에러가 뜨면 같은 패키지명이 없다는 뜻이므로 사용해도 된다.
3-2. 패키지 생성
패키지명과 같은이름의 폴더를 생성한 다음 그 안에서 npm init을 해준다.
mkdir heini-v2core # 패키지명과 같은 폴더 생성
cd heini-v2core
npm init
생성된 package.json 파일의 내용이 npm init시 나온 내용과 같은지 확인하기.
{
"name": "heini-v2core",
"version": "1.0.0",
"description": "uniswap v2-core",
"main": "index.js",
"scripts": {
"test": "echo \"Error: no test specified\" && exit 1"
},
"author": "heini",
"license": "ISC"
}
4. 패키지 배포
폴더 안에서 npm publish
이런 내용의 오류가 뜬다면 이메일인증을 안한 것. 인증 완료하고 다시 publish 한다.

'Le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307 ICT 블록체인 (0) | 2022.03.10 |
---|---|
스토리북 설치 및 실행 (0) | 2021.11.30 |
M1 MongoDB 설치, 계정생성, mongoose connect (0) | 2021.11.18 |
맥북 m1 에서 docker 설치 및 사용 (0) | 2021.11.02 |
[React] github page로 배포하기 (0) | 2021.11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