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Lecture

Restful API 매서드 타입

Restful API를 사용하면 코드를 더욱 직관적으로 볼 수있게 된다.

 

1. React로 만든 comment를 db와 연결하는 거

2. front server 와 backend server

    >> back : 실서버 구동

    >> front : 구동 X

    >> 그래서 local에서 작업!

    >> db 연결하는 것을 완료하면

 

그래서 매서드 타입들을 정리해 보면

 

1. GET : 데이터를 가져올때 (CRUD 중 R \\ query문에선 select문)

2. POST : 데이터를 입력할때 (C) insert문

3. PUT : 데이터를 수정할때 (U) update문

4. DELETE : 데이터를 삭제할때 (D) delete문

5. PATCH : 데이터를 일부수정 (U) update문

>> put은 전부 다 수정하고 patch는 일부분만 수정함

>> 예 ) 회원정보에서 이름만 수정하면 patch , 게시판의 게시물을 수정할때도 patch : 그래서 put은 잘 안씀

6. OPTIONS : 요청을 체크 (브라우저가 알아서 관리해주는 경우가 대다수)

7. HEAD : 데이터를 Header만 받아올때 (외부 api로그인 할때(?))

 

사실 매서드가 이것보다 더 세밀하게 존재하지만 게시판 view 페이지나 로그인 페이지 같은 한 페이지에서 여러종류의 crud 매서드를 사용하게 될때는 어짜피 get 이나 post 를 사용하게 된다.

'Le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nginx 설치  (0) 2021.07.20
자바스크립트 postman 연결  (0) 2021.07.19
EC2 웹 배포 npm 설치 오류  (0) 2021.07.19
웹 배포  (0) 2021.07.16
WebPack 확장자 처리  (0) 2021.07.05